-
<여는 글> 코로나 시대의 노동78호(2021)/뫼비우스의 띠 2021. 6. 2. 20:08
박연지 부편집장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기 위해서는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 우리는 노동을 통해 의식주를 해결하고 삶을 이어나간다. 한편 우리가 삶을 영위하는 데에는 언제나 타인의 노동 또한 필요하다. 내가 누리는 안락함의 이면에는 항상 타인의 애씀이 있다. 우리는 늘 서로의 노동에 빚져 살아있다.
노동은 우리를 살리기도 하지만 짓누르기도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우리는 노동을 하며 단순히 애쓰는 것을 넘어 착취를 당하기 일쑤다. 착취 구조는 여러 정치·문화·경제적 요인과 함께 복잡하게 엮여있다. 치밀하게 세워진 착취 구조는 코로나19로 인해 그 일각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성심 78호 ‘코로나 시대의 노동’에서는 ‘돌봄 노동’과 ‘택배 노동’의 그림자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우리의 삶을 지탱해주는 노동의 이면에 어떤 모순과 아픔이 숨겨져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집① : 당신을 살리는 일 - 최희원 수습위원
특집② : 노동자이지만 노동자가 아닌 사람들 - 양광모 수습위원
'78호(2021) > 뫼비우스의 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자이지만 노동자가 아닌 사람들 (0) 2021.06.02 당신을 살리는 일 (0) 2021.06.01 한 선진국의 ‘가난의 할머니화’에 대하여 (0) 2021.06.01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향한 발걸음 (0) 2021.06.01 사람이 사람에게 이래도 되는가 (0) 2021.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