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호(2021)
-
대학을 보고 듣고 쓰는 곳78호(2021)/가톨릭대와 대학 2021. 6. 1. 15:24
김정연 편집장 대학언론은 대학생의 시선으로 학내·외 사회를 바라보며 의견을 개진해 학생담론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언론기구이다. 대학언론의 역사는 독재와 탄압을 벗어나고자 하는 학생 운동과 함께 전개되었기에 학내·외 사회에서 진보적인 청년 담론 형성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대학이 취업을 위한 정거장이 되면서 학생 담론은 스펙과 취업으로 분산되고 개인에 초점이 맞춰져, 군집의 힘이 필요한 사항은 뒷전으로 밀려나게 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담론 형성에 주축이 되었던 대학언론은 그 필요성이 희미해졌다. 이는 ‘대학언론의 위기’라 불리며 학내에서 그 필요성과 정체성을 입증하는 것이 대학언론의 숙원이 됐다. 대학언론들은 소멸을 초연히 받아들이는 대신 ‘학내에는 여전히 대학언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신입생을 찾습니다 [실종장소: 비수도권 대학가]78호(2021)/가톨릭대와 대학 2021. 6. 1. 15:21
김정연 편집장 봄과 함께 2021학년도의 신학기가 찾아왔다. 코로나19로 전국의 대학이 혼란한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특히 ‘비수도권 소재 대학[1]’에는 비상이 걸렸다. 입학생 수가 줄어 모집정원을 미처 채우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원미달 문제는 단순히 학과, 대학의 존폐에서 그치지 않고 그 영향이 사회 곳곳으로 산불처럼 번진다. 정원미달 사태는 현재 비수도권의 일부가 아닌 전체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 사립대학의 미충원율이 가장 높고, 심지어 국립대학에서도 미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위기의 비수도권 대학가 ‘정시 경쟁률’은 정원미달 판별의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평균적으로 수시 모집 이후 남은 인원이 정시전형(이하 정시)으로 대학에 지원하기 때문에 정시에서 최종 경쟁률..
-
코로나 학사 2년차 무엇이 무엇이 달라졌을까?78호(2021)/가톨릭대와 대학 2021. 6. 1. 15:20
김정연 편집장 작년과 마찬가지로 본교의 2021-1학기 수업은 온·오프라인 병행 방식으로 진행됐다. 2020-2학기에 처음 시행된 온·오프라인 병행수업은 그 당시 학생들에게 생소했을뿐더러, 2020-2학기 수업 진행이 ‘전면 온라인 방식’에서 ‘온·오프라인 병행 방식’으로 빠르게 변경되어 혼란함을 남겼다. 모두가 낯선 경험을 한 2020학년도를 지나, 현재 코로나 학사 2년 차가 되었다. 수업 운영의 합리성과 편의성에 대한 논의가 한차례 진행된 2021학년도의 학사운영정책은 과연 나름의 돌파구를 찾았을까? 성심은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의 2020-2학기, 2021-1학기 학사 운영을 비교하여 ‘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학사 운영’이 진행되었는지를 조사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는 코로나19 확산 양상에 따라..